학생인권 위한 '노동자 학부모회' 결성
노동자들이 학부모로서 아이들의 인권과 공교육 실현을 위한 움직임을 시작했다. 민주노총 조합원들을 중심으로 준비되고 있는 '(가칭)공교육과 학생들의 인권을 생각하는 노동자학부모들의 모임' (이하 노동자학부모회)이 바로 그것.
NEIS의 정보인권 침해라는 전사회적인 논란을 계기로 결성된 노동자학부모회는 "공교육 강화와 참교육 실현, 정보의 주체가 객체로 전락된 상태에서의 학생인권 수호, 정규교육과정에 노동교육을 교과과정에 넣어 노동의 가치를 높이는 것"을 목표로 올 7월중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가게 된다.
준비위원장을 맡고 있는 오형수 씨(전국사회보험노동조합 전북본부장)를 만나 이야기를 들어봤다.
>> 노동자학부모회가 만들어진 계기에 대해서 말씀해주세요.
교육개방으로 공교육이 무너지고 있는 상황이고, 네이스 문제로 인권침해 문제가 대두되고 있는 이 때에 노동자로서, 또 학부모로서 인권에 대한 관심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6월 초 민주노총 전북본부 운영위원회에서 노동자학부모회를 만들자는 결의가 있은 후 우선 학교운영위원인 노동자들을 중심으로 모이고 있어요. 그리고 홈페이지(http://nodongfm.icomn.net)를 통해 모임을 알리고 있습니다.
>> 물론 준비위원장님도 학교에 다니는 자녀가 있겠네요. 자녀분들 보면서 NEIS 말고도 교육문제를 많이 고민하실 것 같은데요?
네, 저도 자녀가 셋인데 그 중 둘은 초등학생입니다. 얼마 전에 딸아이가 반에서 반장이 하고 싶었나봐요. 그런데 친구들에게 뭘 사줘야 자기를 잘 소개해 줄 수 있다는 이야기를 하더라고요. 학교가 사회의 축소판인 듯해 참 씁쓸했습니다. 공교육이 많이 상실됐기 때문이 아닐까하는 생각이 들어요.
그리고 교육개방을 비롯한 신자유주의 물결 속에서 수치로 나타나는 교육 결과만을 중요하게 여기는데 교육이 질적으로 변화하기 위해서는 내용 중심의 교육으로 변해야 한다고 봐요.
>> 모임에서 교육 내용에 대해서도 고민하는 것 같아요. 예를 들면 '노동사회교육을 교과과정에 포함시켜야 한다'고 주장하는데요.
알다시피 노동자들이 파업을 하면 무조건 방송매체에서는 불법이고 국가경제를 말아먹는다고 이야기하잖아요. 그것은 근본적으로 노동의 존엄성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기 때문이에요. 아이들에게 노동의 가치, 소중함을 심어줄 필요가 있고 무엇보다도 정식 교과과정에 이런 교육이 포함돼야 한다고 봐요.
>> 끝으로 다른 자녀를 둔 학부모들께 하고 싶은 말씀이 있다면?
학교성적도 중요하지만, 학교에서 벌어지고 있는 학교 행정들이 우리 아이들의 장래에 어떻게 영향을 줄 것인지에 대해서도 깊이 관심을 가져준다면 좋겠습니다. 또 그런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저희 모임에서 적극적으로 노력해 나갈 것입니다. [정리: 임재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