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3일 핵페기장 백지화를 위한 도민대회에서 일부 취재기자들이 시위군중에게 취재를 거부당하고 이 과정에서 감정이 격해진 군중의 일부가 취재기자에게 린치를 가하는 일이 벌어졌다. 이에 전북기자협회와 전북사진기자협회는 25일 성명을 통해 이는 명백한 취재권 방해이며 반핵 부안군대책위의 공식사과와 재발방지 약속, 치료비와 보상 등을 요구했다.
우리는 기자협회의 성명을 보면서 안타까움을 느낀다. 기자협회가 당시 시위군중을 나무라기 이전에 먼저 해야할 일은 왜 부안군민들이 그토록 언론을 불신하게 됐는지를 생각해봐야 하는 것이다. 부안군민들은 말한다.
"우리는 죽어라 목숨걸고 싸우는데 테레비에 잠깐 비치기만 하고 우리가 왜 싸우는지 나오지를 않아."  "경찰한테 맞은 건 우린데 우리보고 폭도래."
지난 달 14일부터 계속된 부안군민들의 반핵투쟁에 언론은 이들을 폭도로 매도하거나 과격시위만을 부각시키고 이들이 두 달째 생계마저 팽개치고 아스팔트 위에 나선 절박한 이유에 대해서는 침묵해왔다. 한 술 더 떠서 지역언론은 몇 가지 투자사업을 부안에 유치하면 부안군민들이 핵폐기장을 받아들일 것처럼 아전인수격 왜곡보도를 일삼고 있다. 두 달 가까이 아스팔트 위에서 싸워왔거늘 아무런 대답이 없는 정부에 대해 "이럴 수는 없다"것이 부안군민의 정서다. 여기에 언론이 그 역할을 톡톡이 했다는 것을 군민들은 잘 알고 있다. 편파·왜곡보도는 군민들에게 더 큰 폭력이었다.
언론은 성역인가. 국민의 알권리는 공정성과 진실성을 전제로 한다. 공정성과 진실성이라는 본분을 상실한 언론은 국민으로부터 지탄받아 마땅하다. 이를 깊이 성찰하고 반성하지 않을 때 언론이 계속 '권력의 시녀'의 오명에서 벗어나지 못할 것은 물론 국민의 지탄의 대상에서 벗어나지 못할 것이다. 23일 시위군중들에게 취재거부를 당한데 분노하기 이전에 기자협회는 이들의 분노의 이유에 대해 한 번 깊이 성찰해봐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