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당국, 부안 교장단에 압력
- 학교운영위, 부안 학생 등교거부 계속 이어가기로
전라북도 교육청(교육감 문용주)이 부안의 학생 등교거부 문제 해결을 촉구하고 핵폐기장 선정의 부당성을 지적하는 부안 교장단의 기자회견을 무산시켜 이에 대한 비난이 일고 있다.
지난 24일 부안의 초·중·고등학교 교장단 협의회(이하 교장단 협의회)는 "비민주적인 절차와 방법에 의한 '핵폐기장 유치'의 심각성을 바로 인식하고 부안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원점에서 재검토 할 것, 대규모 등교거부 사태를 해결하여 하루 빨리 교육이 정상화 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을 촉구하는 성명을 내고 기자회견을 가질 예정이었다.
교육 당국, 교육 정상화 요구 외면
그러나 전라북도 교육청의 압력으로 기자회견은 무산되고 교장단은 이를 성명서 발표로 대체했다. 핵폐기장 백지화·핵발전소 추방 범부안군민 대책위(이하 대책위)의 김진원 조직국장에 따르면 "도교육청이 교장단에 전화를 해 집단행동을 할 경우에 불이익을 당할 수 있다는 등의 이야기로 압력을 행사해 성명서 발표와 기자회견을 막고, 교장단에게 발표된 성명서를 취소하는 기자회견을 하라고까지 요구했다"고 한다. 교장단 협의회는 대책위를 통해 성명서를 발표할 수밖에 없었다.
이에 대해 전라북도 교육청은 해명자료를 통해 "24일 대책위가 배포한 교장단의 성명서는 부안 교장단의 공식입장이 아닌 문건에 불과해 공식입장으로 인정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무책임한 교육당국 비판,
등교거부 계속 이어가기로
이에 대책위는 24일 성명을 통해 "등교거부가 한 달이 넘었는데도, 아무런 대책을 내놓지 못하던 교육당국이 오히려 사태 해결을 위해 나선 교장 교사들에게 반교육적인 자세를 요구하고 있다"며 "학생들의 등교를 위한 교장, 교사선생님들의 진지한 노력들마저 가로막고 나서는 교육인적자원부는 어느 나라의 정부부처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고 규탄했다.
학교운영위합동회의, "등교거부지속"
전교조 전북지부(지부장 이항근)도 이날 성명을 통해 "교육부와 전라북도교육청은 학생들의 등교거부 장기화로 인한 집단유급 사태를 막기 위해 일괄휴업·가정학습 등 가능한 모든 조치를 강구하라"고 촉구하고 "정부가 사태 해결을 위해 성실한 노력을 기울이지 않으면, '핵 폐기장 반대 공동수업', '교사서명' 등 적극적인 반대운동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30일 오전 등교거부 지속 여부를 두고 열린 대책위와 학교운영위원회의 합동회의에서 만장일치로 등교거부를 지속시켜나간다는 결정을 내렸다. 이들은 이날 기자회견을 갖고 "정부와 전라북도, 교육당국이 부안의 등교거부 문제를 해결할 의지가 전혀 없어 등교거부 투쟁을 지속한다는 방침을 내렸다"고 밝혔다. 이 회의에는 부안의 32개 학교 35명의 학교운영위원장을 비롯한 운영위원이 참여했다. [임재은]